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7월 12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국제 수영 연맹(FINA) 주관 대회이다. 2013년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광주광역시장의 지지 서명 위조 논란이 있었으나, 209개 FINA 회원국 중 191개 국가와 독립 FINA 선수단이 참가하여 역대 최다 참가국 기록을 세웠다. 대회는 경영, 오픈워터 수영, 아티스틱 수영, 다이빙, 하이다이빙, 수구 등 6개 종목에서 76개의 메달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16개로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고, 미국이 총 36개의 메달로 최다 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김수지 선수가 다이빙 여자 1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수영 대회 - 2002년 아시안 게임 수영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수영은 28개국 22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개인혼영, 계영 경기를 통해 메달 경쟁을 벌인 종목이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수영 대회 - 2014년 아시안 게임 수영
2014년 인천 문학박태환수영장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 수영은 경영 및 다이빙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34개국 32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 일본 등이 두각을 나타냈다. - 광주광역시의 스포츠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빛나는 내일을 향하여"라는 슬로건과 '누리비' 마스코트를 사용하여 개최된 하계 스포츠 경기 대회로, 육상, 수영, 농구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으나 메르스 유행과 북한 불참,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광주광역시의 스포츠 - 광주무등경기장
과거 광주광역시에 위치했던 종합 스포츠 시설인 광주무등경기장은 야구장과 주경기장을 포함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경기와 K리그, FA컵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하고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시설이 철거되고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가 건립되었다.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명칭 | 제18회 FINA 세계 선수권 대회 |
![]() | |
개최 도시 | 광주, 대한민국 |
기간 | 2019년 7월 12일 – 2019년 7월 28일 |
경기장 | 남부대학교 조선대학교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염주체육관 |
참가 선수 | 2,623명 |
참가 국가 | 192개국 |
개막 | 문재인 |
폐막 | 훌리오 마글리오네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전 대회 | 부다페스트 2017 |
다음 대회 | 부다페스트 2022 |
2. 개최지 선정
2013년 7월 1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FINA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대한민국 광주광역시가 2019년 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었다.[3] 당시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와 아제르바이잔의 바쿠도 유치를 신청했었다.
같은 날 부다페스트는 2021년 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나, 2017년 대회 개최지로 예정되었던 멕시코 과달라하라가 개최권을 반납하면서 2017년 대회를 먼저 개최하게 되었다. 이후 일본 후쿠오카가 2021년 대회를 유치했다.
한편, 광주광역시의 유치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 관계자의 지지 서명을 위조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국내에서 논란이 일었다.[4][18] 이 문제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는 초기에 대회 지원을 거부하였으나, 향후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 유치 시 대한민국 국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법안 통과를 조건으로 최종 지원에 합의했다.[4]
2. 1. 유치 신청 도시
유치 신청 도시로는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아제르바이잔의 바쿠가 경쟁했다.개최지는 2013년 7월 19일, 2013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가 열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국제 수영 연맹(FINA) 총회에서 결정되었다.[3] 광주와 부다페스트가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 후, 2019년 대회는 광주에서, 2021년 대회는 부다페스트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다. 부다페스트는 이후 멕시코 과달라하라의 개최 포기로 인해 2017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를 대신 개최하게 되었고, 2021년 대회는 일본 후쿠오카가 유치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유치 과정에서 논란이 발생했다. 광주광역시장이 유치 지지 서명을 위조했다는 정부의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4] 이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는 초기에 대회 지원을 거부했으나, 향후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 유치 시 대한민국 국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법안 통과를 조건으로 지원에 합의했다.
2. 2. 유치와 관련된 논란
광주광역시가 이 대회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유치제안서에 있는 김황식 당시 국무총리와 최광식 당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서명을 위조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21] 유치 서류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1억달러를 지원한다"는 내용과 함께 국무총리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서명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는 스캔을 통해 위조된 것이었다.[18]이 위조 사실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각 3개월 전에 이미 파악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은폐하다가, 유치가 결정된 지 5시간이 지난 후에야 발표하면서 파문이 커졌다. 이에 대해 광주광역시는 "6급 직원의 단순 실수"라고 해명했다.
서명 위조 사건으로 인해 정부는 처음에는 대회 예산 지원을 철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21][4] 결국 향후 주요 스포츠 행사 유치 시 국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법안 통과를 조건으로 대회 지원에 합의했다.[4]
3. 대회 상징
대회 로고는 무등산과 영산강을 형상화하여 '평화의 물결'이라는 상징으로 삼았다.[22] 이번 대회의 슬로건은 '평화의 물결 속으로(Dive into Peace)'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드높여온 광주에서 인류 평화에 대한 염원을 담았다.[22][5]
마스코트는 무등산과 영산강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수달을 남녀 한 쌍으로 의인화하였다.[22]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수달이 광주광역시 인근 산악 지역에 서식하고 "수영 선수들의 도전 정신"을 상징하기 때문에 선정되었다.[5]
4. 경기 시설
대회 운영에 사용된 경기 시설은 대부분 임시 또는 가설 형태로 운영되었다.[24] 특히 수구, 아티스틱 스위밍, 하이다이빙 경기장의 수조와 가설 스탠드 등 일부 임시 시설은 대회가 끝난 후 2020년 하계 올림픽의 수영 관련 종목 경기 시설로 다시 활용될 예정이었다.[25] 또한, 많은 경기가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당시 사용되었던 시설들을 기반으로 치러졌다.[6][7]
4. 1. 경기장
대회는 주로 광주광역시에서 열렸으며, 오픈 워터 스위밍 종목은 여수시에서 개최되었다. 광주에서는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위해 건설된 남부대학교 시립국제수영장이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고[6], 이 외에도 남부대학교 운동장, 염주체육관, 조선대학교 운동장 등이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7] 여수시에서는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에서 경기가 열렸다.4. 1. 1. 광주광역시

대부분의 경기는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위해 광주에 지어진 주 경기장에서 열렸다.[6]
- 남부대학교 시립 국제수영장: 경영, 다이빙 경기가 열렸다. 대회 기간 관중석과 부대시설을 마련하기 위해 약 1만 2천 석 규모의 가설 스탠드가 설치되었다.
- 남부대학교 축구장: 수구 경기를 위해 야외 임시 경기장이 설치되었다.[7]
- 염주종합체육관: 아티스틱스위밍 경기가 열렸다.
- 조선대학교 축구장: 하이다이빙 경기가 열렸다.
4. 1. 2. 여수시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에서 오픈 워터 스위밍 경기가 개최되었다.4. 2. 지원 시설

공식 선수촌과 미디어촌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의 우산주공아파트 재건축 부지를 활용해 지어졌다. 중흥건설이 건설에 참여했으며,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끝난 뒤에는 정비를 거쳐 우산동 중흥S-클래스센트럴 선수촌아파트로 개장해 시민들의 보금자리로 활용된다. 커뮤니티 시설, 공원부지 등에 대회 배후시설이 마련되어 선수와 미디어 관계자들의 편의를 도모했다.[26]
미디어 프레스 센터(MPC)와 국제방송센터(IBC)는 임시시설로 건설되었다. MPC는 남부대학교 시립국제수영장의 가설 스탠드 내에 입주했고, IBC는 남부대학교 부지 내에 천막으로 마련되었다.
대부분의 경기는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위해 광주에 지어진 시설들을 활용했다.[6][7] 주요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5. 일정
● | 개막식 | ● | 기타 경기 | ● | 결승 | ● | 폐막식 | M | 남자 경기 | W | 여자 경기 |
7월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총계 |
---|---|---|---|---|---|---|---|---|---|---|---|---|---|---|---|---|---|---|
개막식 | ● | ● | - | |||||||||||||||
수영 | 4 | 4 | 5 | 5 | 5 | 5 | 6 | 8 | 42 | |||||||||
오픈 워터 수영 | 1 | 1 | 1 | 1 | 1 | 2 | 7 | |||||||||||
아티스틱 수영 | ● | 1 | 1 | 2 | 1 | 1 | 1 | 1 | 2 | 10 | ||||||||
다이빙 | ● | 3 | 2 | 2 | 1 | 1 | 1 | 1 | 2 | 13 | ||||||||
하이다이빙 | ● | 1 | 1 | 2 | ||||||||||||||
수구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2 | |||
비치 수구 | ● | W | M | W | M | W | M | 2 | ||||||||||
총계 | 0 | 5 | 4 | 4 | 3 | 3 | 3 | 4 | 4 | 4 | 4 | 6 | 6 | 5 | 6 | 7 | 8 | 76 |
누계 | 0 | 5 | 9 | 13 | 16 | 19 | 22 | 26 | 30 | 34 | 38 | 44 | 50 | 55 | 61 | 68 | 76 | 76 |
총 76개의 메달 경기가 6개 종목에서 열렸다.[8] 비치 수구는 시범 종목으로 도입되어 메달은 수여되지 않았다.
6. 세부 종목
- 경영
- 오픈워터 수영
- 아티스틱 수영
- 다이빙
- 하이 다이빙
- 수구
총 76개의 메달 경기가 6개 종목에서 열렸다.[8] 비치 수구는 시범 종목으로 도입되어 메달은 수여되지 않았다.
● | 개막식 | ● | 예선 및 기타 경기 | ● | 결승 경기일 (해당 숫자는 결승 경기 수) | ● | 폐막식 | M | 남자 경기 | W | 여자 경기 |
---|
7월 | 12일 금 | 13일 토 | 14일 일 | 15일 월 | 16일 화 | 17일 수 | 18일 목 | 19일 금 | 20일 토 | 21일 일 | 22일 월 | 23일 화 | 24일 수 | 25일 목 | 26일 금 | 27일 토 | 28일 일 | 총계 |
---|---|---|---|---|---|---|---|---|---|---|---|---|---|---|---|---|---|---|
개막식 | ● | ● | - | |||||||||||||||
수영 | 4 | 4 | 5 | 5 | 5 | 5 | 6 | 8 | 42 | |||||||||
오픈 워터 수영 | 1 | 1 | 1 | 1 | 1 | 2 | 7 | |||||||||||
아티스틱 수영 | ● | 1 | 1 | 2 | 1 | 1 | 1 | 1 | 2 | 10 | ||||||||
다이빙 | ● | 3 | 2 | 2 | 1 | 1 | 1 | 1 | 2 | 13 | ||||||||
하이다이빙 | ● | 1 | 1 | 2 | ||||||||||||||
수구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W | M | 2 | |||
비치 수구 (시범 종목) | ● | W | M | W | M | W | M | 2 | ||||||||||
총 금메달 수 | 0 | 5 | 4 | 4 | 3 | 3 | 3 | 4 | 4 | 4 | 4 | 6 | 6 | 5 | 6 | 7 | 8 | 76 |
누계 금메달 수 | 0 | 5 | 9 | 13 | 16 | 19 | 22 | 26 | 30 | 34 | 38 | 44 | 50 | 55 | 61 | 68 | 76 | 76 |
7. 경기 결과
중국이 금메달 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은 가장 많은 총 메달을 획득했다.[9]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김수지가 여자 1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
1 | -- 중국 (CHN) | 16 | 11 | 3 | 30 |
2 | -- 미국 (USA) | 15 | 11 | 10 | 36 |
3 | -- 러시아 (RUS) | 12 | 11 | 7 | 30 |
4 | -- 오스트레일리아 (AUS) | 7 | 9 | 7 | 23 |
5 | -- 헝가리 (HUN) | 5 | 0 | 0 | 5 |
6 | -- 이탈리아 (ITA) | 4 | 6 | 5 | 15 |
7 | -- 영국 (GBR) | 4 | 2 | 6 | 12 |
8 | -- 독일 (GER) | 3 | 2 | 3 | 8 |
9 | -- 브라질 (BRA) | 2 | 3 | 2 | 7 |
10 | -- 캐나다 (CAN) | 2 | 2 | 7 | 11 |
11 | -- 일본 (JPN) | 2 | 2 | 6 | 10 |
12 | -- 프랑스 (FRA) | 1 | 3 | 3 | 7 |
13 | -- 스웨덴 (SWE) | 1 | 2 | 2 | 5 |
14 | -- 우크라이나 (UKR) | 1 | 1 | 5 | 7 |
15 | -- 남아프리카 공화국 (RSA) | 1 | 1 | 2 | 4 |
16 | -- 스페인 (ESP) | 0 | 4 | 1 | 5 |
17 | -- 멕시코 (MEX) | 0 | 2 | 4 | 6 |
18 | -- 그리스 (GRE) | 0 | 1 | 0 | 1 |
18 | -- 말레이시아 (MAS) | 0 | 1 | 0 | 1 |
18 | -- 네덜란드 (NED) | 0 | 1 | 0 | 1 |
18 | -- 노르웨이 (NOR) | 0 | 1 | 0 | 1 |
18 | -- 스위스 (SUI) | 0 | 1 | 0 | 1 |
23 | -- 크로아티아 (CRO) | 0 | 0 | 1 | 1 |
23 | -- 이집트 (EGY) | 0 | 0 | 1 | 1 |
23 | -- 뉴질랜드 (NZL) | 0 | 0 | 1 | 1 |
23 | -- 대한민국 (KOR) | 0 | 0 | 1 | 1 |
합계 (26개국) | 76 | 77 | 79 | 232 |
- '''개최국'''
=== 경영 ===
==== 남자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자유형 | |||
50m | 케이레브 드레슬 -- 미국 21초04 CR | 브루노 프라투스 -- 브라질 21초45 | 크리스티안 골로메프 -- 그리스 21초45 |
100m | 케이레브 드레슬 -- 미국 46초96 | 카일 찰머스 -- 오스트레일리아 47초08 | 블라디슬라프 그리네프 -- 러시아 47초82 |
200m | 쑨양 -- 중국 1분44초93 | 마츠모토 카츠히로 -- 일본 1분45초22 | 마틴 말류틴 -- 러시아 1분45초63 던컨 스콧 -- 영국 1분45초63 |
400m | 쑨양 -- 중국 3분42초44 | 맥 호턴 -- 오스트레일리아 3분43초17 | 가브리엘레 데티 -- 이탈리아 3분43초23 |
800m | 그레고리오 팔트리니에리 -- 이탈리아 7분39초27 | 헨리크 크리스티안센 -- 노르웨이 7분41초28 | 데이비드 오브리 -- 프랑스 7분42초08 |
1500m | 플로리안 웰브록 -- 독일 14분36초54 | 미하일 로만추크 -- 우크라이나 14분37초63 | 그레고리오 팔트리니에리 -- 이탈리아 14분38초75 |
배영 | |||
50m | 자이언 와델 -- 남아프리카 공화국 24초43 | 예브게니 릴로프 -- 러시아 24초49 |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 러시아 24초51 |
100m | 쉬자위 -- 중국 52초43 | 예브게니 릴로프 -- 러시아 52초67 | 미치 라킨 -- 오스트레일리아 52초77 |
200m | 예브게니 릴로프 -- 러시아 1분53초40 | 라이언 머피 -- 미국 1분54초12 | 루크 그린뱅크 -- 영국 1분55초85 |
평영 | |||
50m | 애덤 피티 -- 영국 26초06 | 펠리페 리마 -- 브라질 26초66 | 주앙 고메스 주니오르 -- 브라질 26초69 |
100m | 애덤 피티 -- 영국 57초14 | 제임스 윌비 -- 영국 58초46 | 옌쯔베이 -- 중국 58초63 |
200m | 안톤 추프코프 -- 러시아 2분6초12 WR | 매튜 윌슨 -- 오스트레일리아 2분6초68 | 와타나베 잇페이 -- 일본 2분6초73 |
접영 | |||
50m | 케이레브 드레슬 -- 미국 22초35 CR | 올레그 코스틴 -- 러시아 22초70 | 니콜라스 산토스 -- 브라질 22초79 |
100m | 케이레브 드레슬 -- 미국 49초66 | 안드레이 미나코프 -- 러시아 50초83 | 채드 르 클로스 -- 남아프리카 공화국 51초16 |
200m | 크리스토프 밀라크 -- 헝가리 1분50초73 WR | 세토 다이야 -- 일본 1분53초86 | 채드 르 클로스 -- 남아프리카 공화국 1분54초15 |
개인 혼영 | |||
200m | 세토 다이야 -- 일본 1분56초14 | 제레미 데플랑슈 -- 스위스 1분56초56 | 체이스 칼리쉬 -- 미국 1분56초78 |
400m | 세토 다이야 -- 일본 4분8초95 | 제이 리더랜드 -- 미국 4분9초22 | 루이스 클레버트 -- 뉴질랜드 4분12초07 |
계영 | |||
4×100m | 케이레브 드레슬 블레이크 피에로니 잭 애플 네이선 에이드리언 -- 미국 3분9초06 CR | 블라디슬라프 그리네프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예브게니 릴로프 -- 러시아 3분9초97 | 캐머런 맥보이 클라이드 루이스 알렉산더 그레이엄 카일 찰머스 -- 오스트레일리아 3분11초22 |
4×200m | 클라이드 루이스 카일 찰머스 알렉산더 그레이엄 맥 호턴 -- 오스트레일리아 7분00초85 | 미하일 도브갈류크 미하일 베코비셰프 알렉산드르 크라스니크 마틴 마리우틴 -- 러시아 7분1초81 | 앤드루 셀리스카 블레이크 피에로니 잭 애플 타운리 하스 -- 미국 7분1초98 |
혼계영 | |||
4×100m | 루크 그린뱅크 애덤 피티 제임스 가이 던컨 스콧 -- 영국 3분28초10 | 라이언 머피 앤드루 윌슨 케이레브 드레슬 네이선 에이드리언 -- 미국 3분28초45 | 예브게니 릴로프 키릴 프리고다 안드레 미나코프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 러시아 3분28초81 |
==== 여자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bgcolor="#cccccc"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bgcolor="#efefef"
| colspan=4 | '''자유형'''
|-
| 50m || '''시모네 마누엘'''
-- 미국
24초 05 || 사라 셰스트룀
-- 스웨덴
24초 07 || 케이트 캠벨
-- 오스트레일리아
24초 11
|-
| 100m || '''시모네 마누엘'''
-- 미국
52초 04 || 케이트 캠벨
-- 오스트레일리아
52초 43 || 사라 셰스트룀
-- 스웨덴
52초 46
|-
| 200m || '''페데리카 펠레그리니'''
-- 이탈리아
1분 54초 22 || 아리안 티트머스
-- 오스트레일리아
1분 54초 66 || 사라 셰스트룀
-- 스웨덴
1분 54초 78
|-
| 400m || '''아리안 티트머스'''
-- 오스트레일리아
3분 58초 76 || 케이티 레데키
-- 미국
3분 59초 97 || 리아 스미스
-- 미국
4분 01초 29
|-
| 800m || '''케이티 레데키'''
-- 미국
8분 13초 58 || 시모나 콰다렐라
-- 이탈리아
8분 14초 99 || 아리안 티트머스
-- 오스트레일리아
8분 15초 70
|-
| 1500m || '''시모나 콰다렐라'''
-- 이탈리아
15분 40초 89 || 자라 쾰러
-- 독일
15분 48초 83 || 왕젠자허
-- 중국
15분 51초 00
|- bgcolor="#efefef"
| colspan=4 | '''배영'''
|-
| 50m || '''올리비아 스몰리가'''
-- 미국
27초 33 || 에티엔 메데이로스
-- 브라질
27초 44 || 다리아 바스키나
-- 러시아
27초 51
|-
| 100m || '''카일리 마스'''
-- 캐나다
58초 60 || 미나 애저턴
-- 오스트레일리아
58초 85 || 올리비아 스몰리가
-- 미국
58초 91
|-
| 200m || '''레건 스미스'''
-- 미국
2분 03초 69 || 케이리 맥키언
-- 오스트레일리아
2분 06초 26 || 카일리 마스
-- 캐나다
2분 06초 62
|- bgcolor="#efefef"
| colspan=4 | '''평영'''
|-
| 50m || '''릴리 킹'''
-- 미국
29초 84 || 베네데타 필라토
-- 이탈리아
3
8. 메달 집계
wikitext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국 | 16 | 11 | 3 | 30 |
2 | 미국 | 15 | 11 | 10 | 36 |
3 | 러시아 | 12 | 11 | 7 | 30 |
4 | 오스트레일리아 | 7 | 9 | 7 | 23 |
5 | 헝가리 | 5 | 0 | 0 | 5 |
6 | 이탈리아 | 4 | 6 | 5 | 15 |
7 | 영국 | 4 | 2 | 6 | 12 |
8 | 독일 | 3 | 2 | 3 | 8 |
9 | 브라질 | 2 | 3 | 2 | 7 |
10 | 캐나다 | 2 | 2 | 7 | 11 |
11 | 일본 | 2 | 2 | 6 | 10 |
12 | 프랑스 | 1 | 3 | 3 | 7 |
13 | 스웨덴 | 1 | 2 | 2 | 5 |
14 | 우크라이나 | 1 | 1 | 5 | 7 |
1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1 | 2 | 4 |
16 | 스페인 | 0 | 4 | 1 | 5 |
17 | 멕시코 | 0 | 2 | 4 | 6 |
18 | 그리스 | 0 | 1 | 0 | 1 |
말레이시아 | 0 | 1 | 0 | 1 | |
네덜란드 | 0 | 1 | 0 | 1 | |
노르웨이 | 0 | 1 | 0 | 1 | |
스위스 | 0 | 1 | 0 | 1 | |
23 | 크로아티아 | 0 | 0 | 1 | 1 |
이집트 | 0 | 0 | 1 | 1 | |
뉴질랜드 | 0 | 0 | 1 | 1 | |
대한민국 | 0 | 0 | 1 | 1 | |
합계 | 76 | 77 | 77 | 230 |
중국이 금메달 수로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지만, 총 메달 수는 미국이 가장 많았다.[9]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김수지가 여자 1m 스프링보드 종목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9. 참가국
209개 FINA 회원국 중 191개 국가와 독립 선수단으로 구성된 난민팀이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처음에는 194개 팀이 참가를 신청하여[10][11] 역대 최다 참가국 기록을 세웠으나, 이후 레소토와 아랍에미리트가 선수단 참가를 철회하여 최종 참가팀 수는 192개가 되었다.[12][13]
참가국 및 참가 인원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선수단 인원)
10. 미디어
11. 후원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후원사는 다음의 대분류로 지정되어 있다.[28]
11. 1. FINA 공식 파트너
11. 2. 내셔널 스폰서
11. 3. FINA 공식 서플라이어
11. 4. 내셔널 서플라이어
11. 5. 내셔널 서포터
참조
[1]
웹사이트
FINA.org
https://www.fina.org[...]
2017-07-31
[2]
뉴스
Gwangju, Budapest win right to host worlds
https://web.archive.[...]
Reuters
2013-07-19
[3]
뉴스
Gwangju Wins Bid to Host 2019 Aquatics Championships
http://world.kbs.co.[...]
[4]
뉴스
FINA World Championships Bidding Scandal Creates Gwangju Money Woes
https://swimswam.com[...]
[5]
웹사이트
Otters Symbolically Chosen as Gwangju 2019 World Championships Mascots
https://www.swimming[...]
2022-08-16
[6]
웹사이트
Our Plan
http://gwangju2019.c[...]
gwangju2019.com
2013-07-19
[7]
웹사이트
18th FINA World Championships - Venue Info
http://www.fina.org/[...]
2019-06-24
[8]
웹사이트
Schedule
https://www.fina.org[...]
2019-06-22
[9]
웹사이트
Medals.
http://www.fina.org/[...]
fina.org
2020-09-16
[10]
웹사이트
PR 57 - FINA Bureau Meeting in Gwangju (KOR)
http://fina.org/news[...]
FINA
2019-07-30
[11]
웹사이트
Gwangju 2019 World Championships boast record 194 participating nations
https://swimswam.com[...]
SwimSwam
2019-07-30
[12]
웹사이트
Entry List by Event and Nation
http://www.omegatimi[...]
FINA
2019-07-20
[13]
웹사이트
Results Book
http://www.omegatimi[...]
FINA
2019-07-20
[14]
웹사이트
FINA partners with Universal Sports: new media rights agreement in the USA until 2021
http://www.fina.org/[...]
FINA
2017-07-06
[15]
웹사이트
NBCUniversal acquires Universal Sports programming from World Championship Sports Network
http://nbcsportsgrou[...]
NBC Sports Group
2016-09-14
[16]
문서
後にブダペストは17年大会に繰り上げ開催すると表明した
[17]
웹사이트
2019年世界水泳、開催都市に光州決定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3-07-21
[18]
웹사이트
韓国・大邱市 イタリア・ミラノと姉妹都市だったと虚偽情報
https://www.zakzak.c[...]
2022-08-01
[19]
문서
Men results
http://www.omegatimi[...]
[20]
문서
Women results
http://www.omegatimi[...]
[21]
웹인용
정부,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예산지원 방침 철회(종합)
https://news.naver.c[...]
2019-07-31
[22]
웹인용
대회상징
https://www.gwangju2[...]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조직위원회
2019-07-09
[23]
웹인용
경기장
http://www.gwangju20[...]
2018-11-25
[24]
뉴스
'지구촌 축제' 광주수영대회 주요 경기장 모든 준비 마쳤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9-07-09
[25]
뉴스
"감사합니다 한국!" 외친 일본 수영 선수, 이런 게 스포츠다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20-02-28
[26]
뉴스
광주 찾은 전 세계 수영 선수들은 뭘 입고 뭘 먹었을까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20-02-28
[27]
뉴스
광주세계수영대회 개·폐회식에 생명·평화 메시지 담는다(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7-09
[28]
웹인용
FINA 파트너
http://www.gwangju20[...]
2019-05-21
[29]
웹인용
광주세계수영대회 보험부문 공식 후원 협약
http://www.newsis.co[...]
[30]
웹인용
광주세계수영대회 보험부문 공식 후원 협약
http://www.newsis.co[...]
[31]
웹인용
아모제푸드 "2019 광주 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공식 후원"
http://isplus.live.j[...]
[32]
웹인용
광주세계수영대회 건설부문 후원협약 체결
http://www.apsk.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